본문 바로가기

공부/[메타코드] 선형대수학 기초 총정리

1강 선형대수 강의

선형대수학

선형: linearity(직선/ 비선형)

ex) 벡터, 행렬

 

vector: 크기와 방향이 있는 물리량 (스칼라의 묶음), 1차원 물리량

scaler: 크기가 있고 방향이 없는 물리량 -> R(상수), 0차원 물리량

 

scaler와 vector의 표현방법

N(자연수의 집합)

Z(정수의 집합)

Q(유리수의 집합)

R(실수의 집합)

 

{1,0,0,0} -> {1, 0]^4 : 0과 1 요소가 들어있고, 4개의 성분으로 되어있다. 

ex) R^3 => {실수1, 실수2, 실수3}

 

0차원: 스칼라 scaler : R, 

1차원: 벡터 vector: R^n

2차원: 행렬 matrix: R^(nxm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 ■ ○ ■ ■ )  < row :n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 ■ ○ ■ ★ ) < row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 ■ ○ ■ ■ ) < row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^  ^ ^ ^  column : m

※행렬을 볼때는 row부터 본다 (2, 4)위치에 ★이 있다. 

 

 

a = [1, 0, 2, 3, 4]

A = [3 0 1]
      [2 0 3]

vector: a[3] = 2, a3 = 2

matrix: A[1,3] = 1, A1.3 = 1

 

3차원이상 tensor : Aijk(3차원), Aijkl(4차원)

 

 

vector연산  // a ∈ R^n, b ∈ R^n

a+b      벡터의 사이즈가 다르다면 덧셈불가 

axb       벡터의 사이즈가 다르다면 곱셈불가        

            -내적(inner product): a, b => a º b      // 내적의 결과는 스칼라, 값은 |a||b|cosθ

            -외적(outer product): a, b => a x b     // 외적의 결과는 벡터

 

 

|a| = vector norm (크기)

|[3, 4]| = 5 = root(3^2 + 4^2)

θ : 두 vector사이의 사잇각

 

 

 

 

내적

 

 

b세계에서 봤을때

a의 크기는 |a|cosθ 

그것에 b의 크기를 곱한 것이 내적이다. 

 

 

 

 

 

☆직교(orthogonal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외적 (a ∈ R^n, b ∈ R^n)

a x b = c ∈ R^n

 

3차원이라고 가정

a[0.5, 0.5, 0] , b[1, 0, 0]

a x b = |a||b|sin θ  = |c| 

 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c = [0, 0, ■] = [0, 0, |a||b|sin θ] 

 

 

행렬연산

[ 1 0 0 ]

[ 0 2 0 ]

[ 0 1 3 ]

 ^  ^  ^ : 벡터들의 모듬

 a  b  c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-->

 

 

*내적*

a = [a1, a2, a3, ... , an]

b = [b1, b2, b3 ,... , bn]

a º b = [a1b1 + a2b2 + ... + anbn ]

        = 0 + 0 + 0 = 0

즉, a와 b는 직교관계

 

행렬 = 벡터의 나열

a: 벡터

[a1, a2, ... an]

 

 

 

0 = c1a1 + c2a2 (c1, c2는 스칼라)

ex) a1 = [1,2]

      c1 = 3

      c1a1 = [3, 6]

 

 

 

 

c1a1+c2a2를 0으로 만드는 스칼라값 c1,c2가 있을까?

[c1 = 0, c2 = 0] (자명) (trivial)

자명한 해 말고는 해를 찾을 수 없다면 일차 독립이다. 

 

※ 직교하면 일차독립이지만, 일차독립이라고 직교하지 않는다. 

 a º b = 0 <=> a1 ┴ a2 (직교)  => a1, a2 일차독립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<직교>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<일차독립>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<일차종속>

 

직교: 벡터 두 개가 서로를 감시할 수 없음

일차 독립: 벡터 두 개가 서로를 감시할 수 있지만, 감시할 수 없는 영역이 있음.

일차 종속 : 벡터 두 개가 서로의 전부를 감시할 수 있음.

 

일차독립 a1, a2, ... , an : 벡터, c1, c2, ... , cn : 스칼라

c1a1+ c2a2+ .... + cnan = 0

{c1 ~ cn}의 해가 c1 = ... = cn = 0 이 유일 : 독립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유일하지 않다면 : 종속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      [ 1    0   -1 ]         

A = [ 1    1   -1 ]

      [ 0    1    0  ]

       a1  a2  a3 

 

1a1 + 0a2 + 1a3 = 0 -> 즉, 독립 아님

a1과 a3는 종속

 

일차독립 열벡터 수 = 2 = rank(A)

 

 

정복해야할 공간: R^3 = vector space

스칼라를 곱했던 열벡터들: 기저 (basis)

 

tangentalplane: 구가 있을 때, 구를 접하는 면

 

 

basis(기저) : independent (독립)

|_____ > 길이(norm) = 1 (unit basis vector)

 

rank : 행령상에서 일차 독립인 열벡터의 수

 

일차독립, 종속, 직교 

 

data encoding 

occam's razor

 

그림(data) -> Encoding layer -> decoding layer-> classify

특징 : 버려지는 차원 있음 > 저차원으로 해석 가능

dim 낮아짐